지역별 부동산 & 교통 개발 현황

 지역별 부동산 & 교통 개발 현황


지역별로 교통 개발 현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관심지역별로 철도, 전철, 도로 등 개발 정보들을 모아서 정리해 봤습니다.

모두 개통 예정 구간이라 변경될 수 있으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개발호재 많이 알 필요가 없습니다. 개발 호재가 10개라면 10곳에 투자할 수 없습니다. 

결국은 한번에 1곳만 하니까 10개 정도 개발 호재 추리고 그 중에 하나 선택하면 되니 많을 필요도 없고, 많으면 오히려 선택에 어려움만 가중되니 호재는 내 관심지역에 어떤 것이 있는지만 알면 됩니다. 

각 호재별 세부 내용은 구글링을 해서 추가로 확인해 봐야 합니다.

대부분의 개발호재들의 일정은 지연되는 것이 일반적이니 부동산 투자는 여유를 가지고 투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수도권 개발 호재

[GTX]

1) GTX-A : 운정-서울역 24년 12월 예정 (전체 2028년 완전개통)

2) GTX-C 2028년 완전 개통 예정

3) GTX-B 2030년 완전 개통 예정


[지하철]

1) 인천1호선 검단연장 : 계약역에서 검단지구까지 연장 2025년 6월 개통 예정. 

2) 9호선 연장 : 둔촌동 고덕강일역까지 2028년 연장 개통  

3) 7호선 연장 : 청라국제도시역 2027년말 개통 예정, 옥정지구 2029년 개통 예정. 

4) 5호선 연장 : 검단신도시-김포 한강신도시 1,2 연결  2031년 준공 목표

5) 대장-홍대선 : 부천대장지구-홍대입구 연결 2030년말 개통 목표


[철도&전철]

1) 교외선 : 대곡-의정부 구간 2024년 12월 예정

2) 포승-평택 철도 : 안중-오성 구건 24년 11월 1일 개통 예정

3) 신안산선 : 원시-서화성남양 구간 2026년 개통 예정

4) 인천발KTX : 2026년말 개통 예상 

5) 여주-원주 복선전철  2027년 개통 예정

6) 월판선 : 시흥 월곶 - 판교 구간 2028년 개통 예상 


[고속도로]

1) 서울세종 고속도로 : 구리-안성 구간 2024년 12월 개통 예정, 

                              2단계 안성-세종구간 2026년말 개통 예정

2) 광명-서울 민자고속도록 2027년 개통 예정 


수도권 서부지역 주요사업


[지하고속도로]

1) 경인 지하고속도로 : 남청라IC-신월IC 구간  2027년 착공

2) 경부 지하고속도로 : 용인-서울 구간  2027년 착공

3) 수도권 제2순환 지하고속도로 : 구리-성남 구간 2028년 착공

4) 영동 지하고속도로 : 용인-과천 구간 2029년 착공


[기업 투자]

SK하이닉스 용인시 처인구 용인반도체 클러스터 팹4기 건설 : 2027년 5월 준공 예정

삼성전자 용인 첨단시스템 반도체 팹6기 : 2026년 부지조성공사 착공 예정


2.서해안

1) 서해선 철도 : 홍성 - 서화성 구간  24년 11월 1일 개통 예정


3.충청, 중부내륙

1) 장항선 철도 : 신창-홍성 24년 11월 1일 개통 예정

2) 중부내륙선 : 충주-문경 구간  24년 11월 29일 개통 예정

3) 충청권 광역철도 1단계 : 계룡-신탄진  2026년 개통 목표 

4) 대전 2호선 트램 : 2028년 개통 예정 


4.강원, 동해

1) 동해선 : 포항-삼척 구간  24년 12월 30일 개통 예정


5.대구, 중앙

1) 대구권 광역철도 : 구미-경산 구간  24년 12월 13일 개통 예정

2) 중앙선 : 도담-영천 구간 24년 12월 예정

3) 대구1호선 : 안심-하양 24년 12월 예정


6.전라도

1) 해남-광주 고속도로 : 강진-광주 구간 2026년 6월 개통 예정 


개발 정보 확인 방법

개발정보를 빠르고 쉽게 확인하는 방법은 호갱노노에서 개발호재 확인 메뉴를 눌러서 확인하면 지도상에서 빠르게 확인할 수 있으니 참고하세요. 끝. 


수도권 인구집중 심화

수도권 집중이 점점 더 심화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수도권에 대부분의 개발 호재들이 몰려 있는 것 같습니다. 다들 인서울 하기 위해 서울 외곽에서 시작해서 점점 서울 내로 들어가는 방향으로 투자를 하는 것 같습니다.

왜 그럴까요? 그것은 서울의 인프라와 부자들이 필요로 하는 것들은 서울에 몰려 있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압구정역 앞에는 세계 최대의 성형외과들이 있고, 대학로에는 160여개에 달하는 극장들이 있습니다. 압도적인 수도권 인구를 바탕으로 주요한 인프라들이 서울에 집중되어 있으니 다들 서울로 몰리고 수요가 몰리면 부동산 가격이 오를 수 밖에 없는게 자본시장이 아닌가 싶습니다.

혹자는 인구가 감소하니까 부동산은 점차 하향세를 그릴 것이라고 하는데 대한민국 전체를 놓고 보면 맞을지 몰라도 각 지역별로는 상승과 하락폭은 천차 만별일 것입니다.

강남과 같이 수요가 많고 교통이 우수한 지역은 물가 상승률 이상 꾸준히 상승할 것이고, 지방은 가격하락과 소멸이 가속화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따라서 어느 지역을 선택하는가가 부동산 투자의 핵심이 되지 않을까 싶고, 지역별로 임장과 분석이 어느 때보다 중요해지는 것 같습니다. 끝.


인천 남촌동 재개발 투자 분석

https://www.supersellingclub.com/2024/09/blog-post_17.html





댓글 쓰기

다음 이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