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인중개사 시험 과목별 목차
어떤 시험이든 과목과 목차는 머리속에 넣어둬야 합니다. 공인중개사 시험도 마찬가지입니다. 과목과 목차는 큰 숲입니다.
각 과목마다 어떤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고, 어떤 과목을 전략적으로 공부해야 하는지, 전체적인 윤곽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단기 합격에서는 숲을 보고 중요한 나무들만 콕 찍어서 공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과목별 목차를 보고 큰 틀을 머리 속에 짜 넣습니다.
목차이외에도 과목별 특징을 명기하여 시험공부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게 표기하였으니 참고하세요.
![]() |
공인중개사 시험 목차 |
1차. 부동산학 개론
- 투자론, 감정평가 부분은 공부하지 않음. 전체 30% 비중으로 어렵기 때문.
- 계산문제는 매년 8~10문제 출제, 계산 문제에서 득점이 유리하고 시험 시간 절약도 가능함.
목차 및 2023년도 시험 출제 비중
부동산학 총론 |
부동산학 서설 |
|
3 |
|
부동산의 개념과 분류 |
2 |
5% |
||
부동산의 특성 |
1 |
2.5% |
||
부동산학 각록 |
부동산경제론 |
5 |
31 |
12.5% |
부동산시장론 |
5 |
12.5% |
||
부동산정책론 |
5 |
12.5% |
||
부동산투자론 (X) |
8 |
20% |
||
부동산금융론 |
3 |
7.5% |
||
부동산개발 및 관리론 |
5 |
12.5% |
||
감정평가론(X) |
감정평가의 기초이론 |
1 |
6 |
2.5% |
부동산의 가격이론 |
1 |
2.5% |
||
감정평가의 방식 |
3 |
7.5% |
||
부동산가격 공시제도 |
1 |
2.5% |
Tip. 시간이 더더욱 부족하다면 시장론도 과감하게 버립니다. 단 버리는 게 많을수록 전략과목을 다 맞춰야 하는 부담이 생깁니다. 버리는 과목이라도 기출문제는 풀어서 보험을 들어두는게 좋습니다.
- 경제론, 시장론, 정책론은 기출문제로 암기합니다. 이론과 모델이 꼭 나옵니다.
1차. 민법과 민사특별법
민법 : 총칙 중 법률행위, 질권을 제외한 물권법, 계약법 중 총칙, 매매,교환, 임대차
민사특별법 : 주택임대차 보호법, 집합건물의 소유 및 관리에 관한 법률,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법률,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상가건물 임대차 보호법
[민법 & 민사특별법 목차]
1. 민법총칙
1) 법률관계, 권리변동
2) 법률행위
3) 의사표시
4) 대리
5) 무효와 취소
6) 조건과 기한
2. 물권법
1) 물권법 총론
2) 물권의 변동
3) 점유권
4) 소유권
5) 용익물권
6) 담보물권 (X)
3. 계약법 (채권법)
1) 계약법 총론
2) 매매
3) 교환
4) 임대차
4. 민사특별법 (X)
1) 주택임대차보호법
2)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3) 집합건물의 소유 및 권리에 관한 법률
4) 가등기담보 등에 관한 벌률
5) 부동산 실권리자명의 등기에 관한 법률
- 담보물권, 민사 특별법은 민법 교재 1/3 차지하고 어려운데 시험에서는 20%만 출제되므로 공부하지 않음.
- 민법은 문제 푸는 속도가 생명임.
- 민법은 처음 접하시는 분들은 동영상 강의를 들으면서 기출 문제 푸는게 좋습니다.
2차 중개사법 (공인중개사법 및 중개실무)
- 구성 : 공인중개사법, 부동산 거래 신고등에 관한 법률, 중개 실무
- 부동산 거래신고 법률, 중개실무는 공부하지 않음.
- 공인중개사 법령에서 75% 출제됨.
- 지문을 꼼꼼하게 집중해서 주의 깊게 읽어야 함.
[중개사법 목차]
Part. 1 공인중개사법령 26~8문제 (O)
1.1. 총칙
1.1.1. 공인중개사법령의 구성 및 제정목적
1.1.2. 용어의 정의
1.1.3. 중개행위
1.1.4. 중개대상물
1.2. 공인중개사제도
1.2.1.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1.2.2. 공인중개사 정책심의위원회
1.3. 중개사무소 개설등록 및 결격사유
1.3.1. 중개사무소 개설등록 기준 (개공, 법인 차이)
1.3.2. 등록 등의 결격사유
1.3.3. 중개사무소 개설등록절차
1.3.4. 이중등록 및 이중소속 금지
1.4. 중개업무 5~ 8문제
1.4.1. 중개사무소 3문제
1.4.2. 업무의 범위(업무지역,겸업)
1.4.3. 인장등록 및 등록증의 게시 1문제
1.4.4. 고용인
1.4.5. 사무소 명칭 및 중개 대상물 광고
1.4.6. 휴업 및 폐업 1문제
1.5. 중개계약 및 부동산거래정보망 2문제
1.5.1. 중개계약
1.5.2. 부동산거래정보망
1.6. 개업공인중개사의 의무 및 책임 4문제
1.6.1. 중개대상물의 확인ㆍ설명 1문제
1.6.2. 거래계약서의 작성 1문제
1.6.3. 개업공인중개사 등의 금지행위 1문제
1.6.4. 개업공인중개사의 기본윤리
1.7. 손해배상책임과 반환채무이행보장
1.7.1. 손해배상책임
1.7.2. 계약금 등의 반환채무이행의 보장
1.8. 중개보수 2문제
1.9. 공인중개사협회 및 교육
1.9.1. 공인중개사협회
1.9.2. 교육
1.9.3. 업무위탁
1.10. 지도 ,감독 및 행정처분 6문제
1.10.1. 감독상 명령
1.10.2. 행정처분 (업무정지,자격정지)
1.11. 벌칙
1.12. 보칙(포상금,행정수수료)
Part. 2 부동산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6~7문제 (X)
2.1. 부동산 거래신고
2.2. 주택 임대차계약의 신고
2.3. 외국인 등의 부동산 취득 등에 관한 특례☆ 1문제
2.4. 토지거래허가구역
2.5. 허가구역 내 토지거래 허가
2.6. 부동산 정보 관리 및 보칙, 벌칙
Part. 3 중개실무 8문제 (X)
3.1. 중개실무 및 중개의뢰접수
3.2. 중개대상물 조사 및 확인
3.3. 중개활동
3.4. 거래계약의 체결3.5. 부동산거래 실무법
Tip. 중개사법은 반복하여 암기하는 과목입니다.
2차 공법 (부동산 공법)
- 구성 :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도시개발법,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도정법), 주택법, 건축법, 농지법
- 도정법, 건축법, 농지법은 35% 차지하는데 공부하지 않음. 나머지 파트에 올인.
- 도시개발법과 도시정비법은 각각 7문제 나오는데 공부 범위는 도시정비법이 압도적으로 많음. => 도시개발법만 공부
- 주택법과 건축법도 각각 7문제가 나오는데 주택법이 범위가 좋아 집중하여 공부한다.
- 공법 목표는 50점만 받는다.
[부동산 공법 목차]
Part 1.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12문제 (O)
1.1. 총칙
1.2. 광역도시계획
1.3. 도시ㆍ군기본계획
1.4. 도시ㆍ군관리계획
1.5. 개발행위의 허가 등
1.6. 비용
1.7. 도시계획위원회
1.8. 보칙 및 벌칙
Part 2 도시개발법 6~7문제 (O)
2.1. 개념(정의,도시개발법의 제정목적)
2.2. 개발계획의 수립 및 도시개발구역의 지정
2.2.1. 도시개발계획
2.2.2. 도시개발구역의 지정
2.3. 시행자의 지정
2.3.1. 시행자의 종류
2.3.2.시행자의 지정
2.4. 실시계획
2.5. 사업의 시행방식
2.5.1. 도시개발사업의 시행방식
2.5.2. 수용 또는 사용방식에 의한 사업시행
2.5.3. 환지방식에 의한 사업시행 (보류지,체비지,입체환지,환지예정지,)
2.6. 준공검사 등
2.7. 비용부담 ,도시개발채권
2.7.1. 비용부담
2.7.2. 도시개발채권(상환기관,소멸시효,발행승인,매입의무자,중도상환)
2.8. 보칙 및 벌칙
Part 3.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 6문제 (X)
3.1. 총칙
3.1.1. 제정목적
3.1.2. 용어의 정의
3.2. 도시ㆍ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의 수립
3.3. 정비계획과 정비구역
3.4. 정비사업의 시행
3.5. 비용의 부담
3.6. 공공재개발 및 공공재건축
3.7. 감독 등
3.8. 보칙
3.9. 벌칙
Part 4. 주택법 7문제 (O)
4.1. 총칙
4.2. 주택의 건설 2~3문제 사업계획승인
4.3. 주택의 리모델링
4.4. 주택의 감리 및 사용검사
4.5. 주택의 공급 2~3문제 key 분양가상한제
4.6. 보칙 및 벌칙
Part 5. 건축법 7문제 (X)
5.1. 총칙 1~2문제
5.2. 건축물의 건축 등 <2/7>문제
5.3. 건축물의 대지와 도로 <1/7>문제
5.4. 건축물의 구조 및 재료
5.5. 지역 및 지구 안의 건축물 1~2문제
5.6. 특별건축구역
5.7. 건축협정
5.8. 결합건축
5.9. 보칙 및 벌칙
Part 6. 농지법 2문제 (X)
6.1. 총칙
6.2. 농지의 소유
6.3. 농지의 이용
6.4. 농지의 보전
6.5. 보칙 및 벌칙
2차 공시세법 (공시법, 세법)
- 구성 : 부동산 등기법, 공간 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중 일부(지적법), 부동산 관련 세법 중 취득세, 등록면허세, 재산세, 소비세, 종합부동산세, 양도소득세
- 지적법(30%), 등기법(30%), 세법(40%) 중 등기법은 공부하지 않음.
- 세법은 가장 늦게 공부를 시작하고 접하는 빈도가 낮지만 공부하면 점수 잘 나옴.
[공시법 목차]
Part 1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12문제 (지적법) (O)
1.1. 총설
1.1.1. 지적제도 개관
1.1.2.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총칙
1.1.3. 토지의 등록 4문제
1.2. 지적공부 및 부동산 종합공부 4문제
1.2.1. 지적공부의 종류와 등록사항
1.2.2. 지적공부의 열람 및 등본교부,지적전산자료
1.2.3. 지적공부의 보존 및 복구
1.2.4. 부동산 종합공부
1.3. 토지의 이동 및 지적정리 등 4 문제
1.3.1. 토지의 이동
1.3.2. 지적정리의 통지 및 등기촉탁
1.4. 지적측량 등 1문제
1.4.1. 지적측량
1.4.2. 지적측량 의뢰
1.4.3. 지적기준점성과
1.4.4. 지적위원회
1.4.5. 지적측량 적부심사
Part 2 부동산 등기법 12문제 (X)
Ch. 1 부동산등기 총칙
1. 부동산등기제도
2. 부동산등기의 종류
3. 등기할 사항(등기의 대상)
4. 종국등기의 효력
5. 등기의 유효요건
Ch. 2 등기절차 총론
1. 등기절차의 개시 신청, 촉탁,직권,명령
2. 등기신청행위
3. 등기신청의 당사자능력(등기신청적격)
4. 등기신청의 당사자<등기신청인>
5. 등기신청에 필요한 신청정보 및 첨부정보
6. 등기신청방법 접수 및 심사
7. 등기신청의 각하,보정 및 취하
8. 등기의 실행 및 등기완료 후의 절차
9. 전산정보처리조직에 의한 등기절차<전자신청>
10. 표시에 관한 등기( 토지, 건물)
Ch. 3 각종 권리에 관한 등기 절차 <각론 1>
1. 소유권에 관한 등기
2. 용익권(用益權)에 관한 등기
3. 담보권에 관한등기
4. 권리질권에 관한 등기
Ch. 4 각종의 등기절차 <각론2>
1. 변경등기
2. 경정등기
3. 말소등기
4. 멸실등기
5. 말소회복등기
6. 촉탁에 의한 등기
7. 가등기
8. 수용으로 인한 등기
9. 합유등기
10 . 공유에 관한 등기
Ch.5 구분건물에 관한 등기절차
Ch. 6 등기기관 및 이의 신청
1. 등기소와 등기관
2. 등기부 등
3. 등기관의 처분에 대한 이의
Ch. 7 등기의 기관 과 그 설비
1. 등기소
2. 등기관
3. 등기에 관한 장부
[세법 목차]
Part 1 조세총론 2문제
Ch. 1 조세의 기초 key 조세의 분류
1. 조세의 정리
2. 조세의 분류와우리나라 조세의 체계
3. 조세용어의 정리 _key 가산세 “암기”
Ch. 2 납세의 의무의 성립,확정,소멸,확장
1. 납세의무의 성립
2. 납세의무의 확정
3. 납세의무의 소멸
4. 납세의무의 확장
Ch. 3 조세우선권 및 배당 순서
1. 조세의 우선권 등
2. 매각대금 배당순위
Ch. 4 조세 불복 절차
1. 국세의 불복
2. 지방세의 불복
Part 2 지방세_출제빈도_ 7문제
Ch. 1 취득세_출제빈도_3문제
1. 취득세의 개념 및 과세대상
2. 취득의 개념 및 취득의 시기 “암기”
3. 과세표준
4. 세 율
5. 납세의무자
6. 비과세대상
7. 취득세 부과·징수방법
Ch. 2 등기·등록에 대한 등록면허세 1문제
1. 등록면허세 기본개념
2. 과세대상
3. 부동산등기에 대한 과세표준
4. 등기·등록에 대한 등록면허세의 세율
5. 납세의무자
6. 등기·등록에 대한 등록면허세 비과세
7. 등기·등록에 대한 등록면허세 납세절차
Ch. 3 재산세_출제빈도_ 3문제
1. 재산세의 기본개념
2. 과세대상
3. 과세표준
4. 재산세 세율
5. 납세의무자
6. 재산세 비과세대상
7. 재산세 부과ㆍ징수
8. 재산세 과세대상 토지 분류
9. 특별시 재산세
Part 3 국세_출제빈도_7문제
Ch. 1 종합부동산세
1. 종합부동산세 기본개념
2. 과세구분 및 세액
3. 주택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4. 토지에 대한 종합부동산세
5. 비과세대상, 감면 등
6. 납세절차
Ch. 2 종합소득세
1 .소득세의 기본개념
2 .부동산업에 대한 종합소득세
Ch. 3 양도소득세 5 문제 ***
1. 양도소득세의 의의 및 특징
2. 양도소득세 과세대상
3. 양도의 개념과 형태
4. 양도 또는 취득의 시기
5. 납세의무자
6. 양도소득 과세표준의 계산
7. 양도소득세 세액의 계산
8. 양도소득세제상 불이익 규정 대상
9. 납세절차
10. 국외자산 양도에 대한 양도소득세
11. 양도소득세 비과세대상 및 비과세 배제
공인중개사 시험 전체 과목별 목차를 정리해 봤습니다. 많은 것 같나요?
다른 시험들에 비하면 그리 많은 것 같진 않습니다. 처음엔 어렵고 시간도 많이 걸리지만 몇번 반복하다보면 머리속에 전체적인 지도가 그려지고 체계가 서서히 잡힙니다.
중요한 것은 새로운 것을 배운다는 마인드를 가질 때 뇌가 정보를 잘 입력합니다. 목차는 머리속에 각각 하나의 작은 폴더와 같습니다. 목차를 암기하시면 목차당 작은 머리속 방에 무엇을 채워 넣었는지, 넣어야 하는지를 뇌가 더 잘 인식하니 후속 공부에도 도움이 많이 됩니다.
Tip.
과목별 전체 목차를 보고 어떤 내용들을 공부하고 시험치는지 머리속에 지도를 만들어 둡니다. 이 지도가 있어야 요약집이든 기출문제든 공부한 내용들을 머리속 지도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학개론 제외 시험 범위에 해당하는 법률만 18개로 다 공부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쉬운 파트를 집중 공략하고, 공부 안한 부분은 그냥 찍습니다. 고득점에 대한 욕심을 버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공인중개사 시험은 전과목 전단원에서 골고루 출제 됩니다. 따라서, 비중과 난이도를 고려한 과목별 공부 전략이 매우 중요합니다. 끝.
“우리가 잘못된 길에 빠지는 건 뭔가를 몰라서가 아니라 안다고 확신하기 때문이다.” – 마크 트웨인 (미국의 문인)